[경제 용어 쉽게 이해하기] 환율 알아보기

환율이란?

 

 

환율이란 한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의 통화 간 교환비율로서 두 나라 통화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원달러 1,300원’의 뜻은 미국의 1달러를 사려면 원화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환율은 그 나라 자산의 대외적인 가치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달러와의 교환에 있어 더 많은 원화를 요구하는 것은 원화의 가치가 하락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환율의 상승=통화의 가치하락, 환율의 하락=통화의 가치상승)

 

보통 여러 나라의 화폐들 중에서도 기준이 되는 것이 미국의 ‘달러’이기 때문에 환율과 원달러 환율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환율과 금리의 관계

 

환율과 금리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래서 금리 다음으로 환율을 포스팅한 이유이다.

 

미국 금리가 높아진다는 건 미국에 돈을 맡기려 할 것이다. 그렇다면 달러로 환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달러를 찾는 사람이 많으니 달러 가치는 올라가 환율이 오르게 된다. 더해서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는데, 외국인들이 금리가 높아진 미국으로 돈을 더 맡기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투자했던 돈을 빼려 하고 그러다 보면 우리나라 주가가 내려가게 된다. 우리나라 안에 있는 달러가 점점 줄어들어서 환율이 오르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미국 금리보다 우리나라의 금리가 높아지면 우리나라에 투자했을 때 얻는 수익이 더 크기때문에 원화를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다. 결국 미국처럼 금리를 인상해야 이런 자금 이탈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금리가 너무 오르면 기업은 이자 부담 때문에 돈을 안 빌리려 하고 이러면 기업 투자를 위축시켜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 수출 또한 어려워진다. 1$짜리 물건을 팔아서 1500원이 생겼는데 환율이 떨어져 이제는 1000원밖에 생기지 않으면 수출을 해도 이익이 적으니 수출업을 주로 하는 우리나가의 경우 경제성장이 둔화된다. 따라서 정부는 함부로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며, 하더라도 찔끔찔끔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듯 경제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떤 정책을 펴든 신중을 기해야 한다.

 

다음 시간에도 경제 용어 공부하며 조금 더 똑쟁이 되기 고고